Korean (English, Japanese)
Saudec Isa Dadé - 성계로 가는 문

나레이션 분석: 문장 1회

Gloc diréi
(먼 옛날...)

gloc[glo, 글로]는 "멀리" 라는 뜻의 부사. diréidiréïc[direi, 디레이] 의 여격으로 "과거에"라는 뜻. 이것이 여격인 것은 뒤에 따라오는 나머지 문장에서의 역할 때문이다.

Gloec ciïoti naibr zaice ruma sor...
(태양계라 불리는 성계에만 인류가 살던 시절...)

ciïoticiïoth[kijoθ, 키요스]의 여격으로 "성계에" 라는 뜻. naibrnaibh[nɛv, 네브](태양) 의 소유격. ciïoti naibr를 합쳐 "태양의 성계에", 즉, "태양계에" 라는 뜻.

zaice는 "...만" 이라는 한정의 뜻을 가진 일종의 후치사. ruma[ruma, 루마]는 rume[rum, 룸] (거주하다)의 분사형. "거주하는" 혹은 "거주하던" 이라는 의미로써, 뒤의 sor[sor, 소ㄹ] (..하던 무렵)을 꾸민다. sor를 명사라 판단한다면, Sor ruma gloec ciïoti naibr zaice...가 더 어울릴 듯. (제국국가 분석 참조) 하지만, sor는 명사가 아니라 구문 뒤에 위치하여 뒤의 주 문장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후치사로 보인다.

Disrronh님은 saur라 적고 있지만, Dadh Baronr에서는 sor라 적고 있다. 여기서는 Dadh Baronr 의 철자를 따랐다.

Déspuc dalynena lisarh üaca cadatarla nilycarle...
(방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이상한 소립자가 발견되었다...)

먼저 각 단어의 뜻은, Déspuc[despu, 데스푸] (소립자), dalynena[dalynəna, 달뤼너나] (이상한), lisarh[lisaʀ, 리사르] (에너지), üaca[waka, 와카] (많은). cadatarla의 원형은 cadate[kadat, 카다트] (방출하다)로써, 과거형 cadatle에 수동태를 만드는 어간 -ar가 연결된 다음 분사화한 모습. 뒤의 nilycarle도 마찬가지로 nilyce [nilyk, 닐뤼크] (발견하다) 의 과거형이 수동태가 된 모습.

이 문장은 약간 복잡하다. 먼저, 주어는 가장 처음에 나오는 déspuc 이며, 동사는 마지막의 nilycarle 이다. 즉, "소립자가 발견되었다" 라는 뜻이며, 이 두 단어 사이의 단어들은 주어를 꾸미는 주어부를 형성하고 있다.

주어를 꾸미는 것은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는 "이상한" 이라는 뜻을 가진 dalynena라는 형용사. 그래고 두번째 것은 lisarh üaca cadatarla이다. 이것은 이 자체로 하나의 문장을 이루고 있다. 즉, 주어는 lisarh, 동사는 분사형을 취하고 있는 cadatarla으로써, "에너지가 방출되는" 이라는 뜻. üaca는 "많은" 이라는 형용사로써, 주어 lisarh을 꾸민다.

lisarh가 "에너지" 라는 뜻으로써 질량파도 포함한다는 해석은 Seikai 의 추정으로써, 그렇지 않다면, 애니 자막에서처럼 해석될 여지가 있는 단어의 절대 수가 부족하게된다.

Disrronh님은 lisare üaca cadatare nilyearle 라 적고 있다.

Séd, ror lisarh zochar sure sa bénh raslomranle.
(하지만, 그 에너지가 어디에서 오는지는 누구도 말할 수 없었다.)

zocharzoch[zoʃ, 조슈] (어디)의 탈격으로 "어디에서" 라는 뜻. sure는 "오다". 여기에서 sa 는 의문문을 만드는 후치사가 아니고, "...하는 것을" 이라는 뜻으로, 문장을 구문으로 만들어주는 일종의 관계사이다. bénh는 "전원", "전체" 라는 뜻.

raslomranle의 뜻이나 구조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 단어의 분석은 추후로 미룬다. Disrronh님은 raslommaranle라 적고 있다.

Reuradh... blaü lugboth sota, goc fata...
(화이트홀... 혹은 이차원, 초공간...)

reuradh[rørað, 뢰라드]는 "화이트홀"이란 뜻으로 reurecadh가 합쳐진 단어. blaü[blau, 블라우]는 "혹은", "또는" 의 뜻. lugboth sota [lugboθ sota, 룩보스 소타] 는 다른(sota) 차원(lugboth) 이라는 뜻. goc fata[go fata, 고 파타] 는 초(fata) 시공(goc).

Adh aséra saiberi cézaléra sor dade lo dade sota sonïarr lochoth lodaïarle.
(이 우주와 다른 우주를 구분하고 있는 벽이 열린 구멍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이 문장은 조금 복잡하다. 먼저 saiberi cézaléra ron dadr lo dadr sota부터 살펴보자. saiberi는 "벽" 이라는 뜻의 saibec [sɛb, 세-브] 여격이다. cézaléracézale[kezal, 케잘] (구분하다)의 진행형 분사로써 "구분하고 있는" 이라는 뜻으로써 바로 뒤에 오는 sor dade lo dade sota를 목적어구로 취하여 "이 우주와 다른 우주를 구분하고 있는" 이라는 뜻이다.
seiberi즉, seibec(벽)의 여격이 사용된 것은 앞의 동사 aséra (asére "열다"의 분사형) 의 보어로 사용된 것 때문이며, aséra는 "열린" 이라는 뜻으로 문두에 위치한 adh([, 아드] "구멍") 을 꾸민다. 따라서, 여기까지의 해석은 "우주와 우주를 구분하고 있는 벽이 열린 구멍" 이 되겠다.
이제 sota 뒷 부분을 살펴보자. lochoth[loʃoθ, 로쇼스] 는 "설", lodaïarle는 "제기되었다" 라는 뜻으로 "주장하다"라는 뜻의 동사 lodaïe[lodai, 로다이]의 수동태 (-ar-) 과거형 (-le). sonïarr 의 뜻이나 역할은 명확하지 않지만, 문장 구성으로 보아 Adh부터 sota까지를 취하여 뒤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보인다. 좀 더 정확한 분석은 뒤로 미룬다.

Disrronh 님은 Adh asla ... ron dadr sota ... 라고 표기하고 있다.

Bénh anle bolucle iurtara lochoti saira raï.
(모두 가설이라기도 뭣한 억측들이었다...)

Bénh anle는 "모두 ...였다" 라는 뜻. lochoti(설) saira(가짜의)는 합쳐서 "가설" 이라는 뜻. 여기서 lochotilochoth의 여격으로써, anle의 보어로 쓰였다. raï는 "심지어" 라는 뜻이다. 실제 나레이션에서는 saï라고 말하고 있지만, raï가 옳은 것으로 보인다. Bolucle iurtara는 "지나친 추측" 이라는 뜻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분석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Séd ror lochath zaice a sifaimscoth stucarle.
(하지만 그 이용법에만은 연구가 계속되었다.)

lochath는 이용법. 바로 위의 lochoth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sifaimscoth는 "연구". stucarle의 원형은 stuce(계속하다)이며, 여기서는 과거 수동태로 사용되었다.

Disrronh 님은 sifaimecoth, stocarle로 표기하고 있다.

Rorite sor bérbodh arsa soth nolarle gloeri ultarte gereurotrumhotr.
(그리고, 이 새로운 에너지원은 결국 인류에게 성간이주계획의 실현을 가져왔고,)

arsa는 "새로운", bérbodh는 "에너지". soth를 "원천"이라고 해석할 때 (일반적인 뜻은 "사물", "...하는 것"), soth sor bérbodr arsa로 하는 것이 더 적합해 보인다.

nolarle는 수동태가 아니라 nolare (가져오다)라는 동사의 과거형으로 추정되며, gloerigloec(인류)의 여격. ultarte의 원형은 ultarth(실현). gereurotrumhotr는 별(gereuc)들간에 살게(rume)하는 것(hoth)에서 만들어진 명사.

Disrronh 님은 son bérboth arza sos로 표기하고 있다.

cinogle ror rumhal érucfagh béna.
(그 거주권을 전 은하로 넓혔다.)

cinoglecinoge(넓히다)의 과거형. rumhalrumhac의 목적격으로 rume(살다)에서 파생된 명사. érucfaghérucfac(은하))의 향격(...으로). 제 3형 명사로써, ...gh로 끝나는 명사들의 기본형과 혼동할 우려가 많다.

Disrronh 님은 cinogeisle ron으로 적고 있고, 나레이션은 마치 cinogimh ron이라 하는 것처럼 들린다.

 

[Top]
Created: 2002.08.04 Updated: 2003.07.25

저작권 공지사항 (Copyright Notice)